연간일정표 다운로드
영역 | 세부내용 | 세부사업 | 추진부서 | 상세 프로그램 | 2023년 | 2024년 | 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3월 | 4월 | 5월 | 6월 | 7월 | 8월 | 9월 | 10월 | 11월 | 12월 | 1월 | 2월 | |||||
교육 | 아주 혁신대학 모델 ai Lab(Ajou innovation Lab) | 1. 아주 혁신대학 모델 추진 | 교무혁신처, 기획팀, 단과대학 | 아주 혁신대학 모델 운영 단과대학 공모 및 심의 | ||||||||||||
아주 혁신대학 모델 운영을 위한 지원책 등에 대한 협의 | ||||||||||||||||
2. 교육혁신 선도학과 육성 | 해당 학과(8개) | 교육혁신 선도학과 모델 정립 및 공모, 지원 | ||||||||||||||
3. 온오프라인 통합 교수 학습지원 체제 구축 | 교무팀 | 인프라 개선(실험실습, 상호작용, 강의녹화) | ||||||||||||||
교수학습개발센터 | 학습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| |||||||||||||||
교수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| ||||||||||||||||
교수학습 인프라 개선 | ||||||||||||||||
온,오프라인 교육환경 개선 | ||||||||||||||||
MOCA 플랫폼 고도화 | ||||||||||||||||
스튜디오 리모델링 | ||||||||||||||||
사례 기반 학습분석 컨퍼런스 개최 | ||||||||||||||||
정보시스템팀 | 교수학습지원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지원 | |||||||||||||||
4. 신산업분야 인력양성 체제 강화 | 교무팀 | 첨단학과 교육과정 개발, 교육공유가이드라인 관련 연구 | ||||||||||||||
인공지능융합학과 | 인공지능융합학과 수업 지원(TA) | |||||||||||||||
아주 탐험 학기 : 경계 없는 통합형 신입생 교육 체계 | 5. 통합형 신입생 교육체계 | 다산학부대학, 교무팀, 학생지원팀, 비교과교육지원센터 | 통합형 신입생 교육체제 '아주 탐험 학기' 구성 및 운영을 위한 정책연구 | |||||||||||||
학생 이해 및 기초 과목 간 과목 운영 이해를 위한 교수 워크숍, 간담회 | ||||||||||||||||
비교과 주간 프로그램 구성 설계 | ||||||||||||||||
High-Touch High-Tech 교육모델 기반 신입생 기초교육 강화 | 6. High-Touch High-Tech 교육모델 기반 신입생 기초교육 강화 | 다산학부대학 | 맞춤형 학습튜터링 | |||||||||||||
블렌디드 러닝 시범운영 | ||||||||||||||||
신입생 배치고사 | ||||||||||||||||
교수학습개발센터 | 적응형 학습 교과목 운영 | |||||||||||||||
CO-BSM 코스웨어 분석 | ||||||||||||||||
CO-BSM 과목 부진 예측 | ||||||||||||||||
자기주도형 융합교육 프로그램(ABC 팔레트) 활성화 | 7. 학생설계전공 활성화 위한 블록형 교육과정(ABC) | 교무팀, 교육혁신팀 | 학생설계전공 가이드 지원 및 공모 시행 | |||||||||||||
ABC(블록형 교육과정) 설계 가이드 작성 및 설명회 개최 | ||||||||||||||||
8. 자기주도 경험학습 강화 파란학기 2.0 | 교육혁신팀 | 파란학기제 운영 | ||||||||||||||
9. 마이크로 전공 및 강의페어링 확대 운영 | ||||||||||||||||
모듈형 융합전공 플랫폼: 융합전공 개설 활성화 플랫폼 | 10. 모듈형 융합전공 플랫폼 구축 운영 | 교무팀, 교육혁신팀 | 모듈횽 융합전공 플랫폼의 운영 및 구조 설계 검토 | |||||||||||||
모듈형 융합전공 플랫폼 활용 가이드북 제작 | ||||||||||||||||
U-Chance : 전공/진로 탐색 프로그램 확대 재편 | 11. 전공/진로 탐색 프로그램 확대 | 다산학부대학, 비교과교육지원센터,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| 현행 전공/진로 탐색 프로그램(교과목, 비교과 포함) 종합분석 | |||||||||||||
전공/진로 탐색 프로그램 수요 검토 및 요구 리스트 작성 | ||||||||||||||||
12. 핵심역량 비교과 프로그램 확대 | 다산학부대학 | 다산서원 | ||||||||||||||
아주고전페스티벌(고전에세이대회, 토론대회, 고전 강연) | ||||||||||||||||
글쓰기 튜터링 | ||||||||||||||||
AWAC 튜터링 | ||||||||||||||||
ACAT(종합의사소통능력평가) | ||||||||||||||||
Ajou Debate | ||||||||||||||||
비교과교육지원센터 | 취약 핵심역량 보완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정책연구 | |||||||||||||||
교수학습개발센터 | 학생 주도성 분석을 위한 정책연구 | |||||||||||||||
학생상담소 | 심리건강교육 프로그램(아주-파란마음) | |||||||||||||||
재학생 단체 심리검사(아주-마음듣기/마음보기) | ||||||||||||||||
심화상담 프로그램(아주-마음토닥) | ||||||||||||||||
객원상담원 운영(아주-마음키퍼) | ||||||||||||||||
교내외 연계 프로그램(아주-마음같이) | ||||||||||||||||
13. 자기주도학습 지원 MOCA 플랫폼 고도화 | 교수학습개발센터 | 모듈형 온라인 콘텐츠 개발/홍보물 제작 | ||||||||||||||
아주허브(Ajou Hub) 고도화 | 14. 생애주기 진로·역량 가이드 플랫폼 구축 및 아주 허브 고도화 | 비교과교육지원센터 | 아주허브 유지보수 | |||||||||||||
대학 혁신 환류 체계 구축 | 15. 대학 혁신 거버넌스 정립 | 대학혁신단 | 대학 혁신의 전방위적 검토·추진을 위한 대학혁신단 신설 | |||||||||||||
교육혁신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본부 조직 재편(교무혁신처, 교육혁신팀) | ||||||||||||||||
16. 대학 혁신 핵심 동력 데이터 통합 관리 : IR데이터센터 신설 | 교육혁신팀, 데이터전략팀, 정보시스템팀, 교육평가인증센터, 비교과교육지원센터 | 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에 대비한 학생 비교과 데이터 관리 시스템 유지보수 및 개선 시행 | ||||||||||||||
대학 내 개별적으로 생성되는 데이터 관리 및 시스템에 대한 현황 분석 | ||||||||||||||||
17. 교육과정 환류체계 고도화 | 교육평가인증센터 | 전공 및 교양교육과정 학습성과 평가 | ||||||||||||||
신입생 및 재학생 역량진단 | ||||||||||||||||
재학생 실태 및 수요 조사 | ||||||||||||||||
교육수요자만족도 조사 | ||||||||||||||||
대학 교수학습에 관한 설문조사(NASEL) 조사 | ||||||||||||||||
학부교육 실태조사(KNSSE) | ||||||||||||||||
학과 교육과정 검토 및 평가계획 | ||||||||||||||||
전공 교육과정 환류체계 시범 운영 | ||||||||||||||||
CQI 체계 운영 및 시스템 보완 | ||||||||||||||||
교육 수요 기반 행·재정 지원체계 구축 | 18. 교육 수요 평가체제 구축 :교원·재정·공간 주기적 재조정 | 교무팀, 교원팀, 기획팀 | 교육여건, 교수연구, 학생성과 등 분야별 지표 기반 학과 평가 시행 | |||||||||||||
교육수요 평가체제 구축 방향 도출을 위하여 주요 본부부서와 대학혁신 총괄부서 공동 정책연구 수행 | ||||||||||||||||
19. 매트릭스형 광역 교원 소속 단위인 A-스쿨(A-School) 제도 신설 운영 |
||||||||||||||||
공유 지향 학사 운영 체계 확립 | 20. 공유교육 체제 구축 | 교무팀 | 공유교육 가이드라인 개발 및 공모 진행 | |||||||||||||
교수학습개발센터 | K-MOOC 강좌 개발 | |||||||||||||||
21. 평생교육 체제 구축 | 교무팀, 글로벌미래교육원 | 평생교육에 대한 관점 재적립 및 미래 계힉 수립을 위한 기반 연구 시행 | ||||||||||||||
RPL(학습경험인정제) 도입과 관련한 정책 연구 수행 | ||||||||||||||||
연구 | 선도적・자발적 연구문화 확산 | 22. 연구윤리문화 정착 체계 확립 | 학술정보팀 | 연구윤리 플랫폼 이용 확산 및 표절검사솔루션 운영 | ||||||||||||
23. 질적평가 기반 연구성과 분석 및 지원 | 연구팀, 학술정보팀 | 전자저널(SciVal) 구독료 *3년차 2차(9개월분/2022.03.01.~2022.11.30.) *1년차 1차(3개월분/2022.12.01.~2023.02.28.) | ||||||||||||||
전략적 연구지원 정책 확대 | 24. 전략적 우수교원 유치・지원 체계 확립 | 교원팀 | UKC 참가를 통한 우수 교원 유치 | |||||||||||||
국제교류팀 | 리서치 뉴스 및 우수 연구 뉴스레터 제작 | |||||||||||||||
대학경쟁력연구원 |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AJOU Challenge 연구보고서 발간 | |||||||||||||||
25. 연구인력 저변확대 및 인프라 개선 | 대학원 | 교육환경개선 | ||||||||||||||
26. 공동・융합 연구 활성화 및 우수연구 그룹 육성 | 공동기기센터 | 공동 첨단 연구장비 도입 | ||||||||||||||
산학협력 | 기술기반 창업 지원 확대 | 27. 실험실 창업탐색 「AI(Ajou Innovation) Lab」 추진 | 창업지원팀 | AI(Ajou Innovation) Lab | ||||||||||||
기타 | 창의・공유의 오픈 캠퍼스 조성 | 28. 창의・공유 캠퍼스 공간 조성 | 총무팀 | 커뮤니티 라운지 조성 | ||||||||||||
학술정보팀 | 개교 50주년 기념 중앙도서관 복합학습공간 구축 | |||||||||||||||
29.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「Ajou Fest」 개최 | 대학발전팀 | 개교 50주년 기념 ai Festival 개최 | ||||||||||||||
학생지원팀 |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원천대동제 | |||||||||||||||
신입생 대상 생각의 마중물 특강 | ||||||||||||||||
뉴노멀 행정지원체계 확립 | 30. 데이터 기반 스마트 행정시스템 구축 | 정보시스템팀 | 스마트행정을 위한 전산 개발 | |||||||||||||
카카오워크 도입 전산 개발 | ||||||||||||||||
구글 Workspace 이용 | ||||||||||||||||
학술정보팀 | 도서관 DB 이중화 및 서버 보안 솔루션 도입 | |||||||||||||||
31. 아주 건강한 조직 구축 | 총무팀 | 조직 심리건강 관리를 위한 EAP 진행 | ||||||||||||||
선도적 대학의 국제화 모델 구축 | 32. 해외현장연구 「Global Ajou Campus」 활성화 | 국제교류팀 | 해외현장연구 프로그램 개발 및 공모 | |||||||||||||
33. 유학생 IPO (Input-Process-Output) 시스템 구축 | 유학생입학팀 | 유학생 전용 진로 및 취업 지도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| ||||||||||||||
전공학습 지원체계 구축 | ||||||||||||||||
유학생 전공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| ||||||||||||||||
유학생 만족도 조사 | ||||||||||||||||
글쓰기클리닉 및 전공클리닉 튜터 | ||||||||||||||||
유학생 전용 라운지 환경개선 | ||||||||||||||||
유학생적응지원 프로그램-새내기배움터 | ||||||||||||||||
공유・협력 및 사회적 가치 실현 | 34. 대학간 공유 협력 | 대학혁신단 | 성과관리 및 성과확산 (포럼/세미나/워크숍 등) | |||||||||||||
35. 사회적 가치 실현 | 아주지속가능발전센터 | SDG 운영 |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