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학혁신지원사업

자율성과지표 설정 및 달성 총괄표

대학혁신지원사업 1주기 자율성과지표 설정 및 달성 총괄표
자율지표명 단위 기준값 연차별 달성 목표 3차년도 달성도
1차년도
(실적)
2차년도
(실적)
3차년도
(A)
실적값
(B)
달성률
(C=B/A*100)
① 학생 역량 맞춤형 쌍방향 지수 61.4 77.0 78.0 81.5 75.2 92.3
② 연구성과 활동 지수 92.6 96.2 100.4 98.3 99.5 101.2
③ 산학협력 사회공헌 지수 63.8 105.5 117.3 108.2 157.8 145.8
④ 대학생활 만족도 지수 64.5 65.8 63.7 71.4 70.8 99.2
평균달성률 109.63
table scroll image

자율성과지표 적절성 및 달성도

자율지표명: 학생 역량 맞춤형 쌍방향 지수
자율지표 정의서
대학혁신지원사업 1주기 자율성과지표 적절성 및 달성도 - 학생 역량 맞춤형 쌍방향 지수 정의서
지표명 기준값 연차별 달성 목표
1차년도
(실적)
2차년도
(실적)
3차년도
(A)
학생 역량 맞춤형 쌍방향 지수 61.4 67.4 75.5 81.5
지표설정 내용 지표설정 근거 지표선정이유
  • 교육 혁신 목표는 학생과 학생 그리고 학생과 교수자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에 의한 교육이므로, 이러한 목표달성을 점검할 수 있는 개별 지표들을 종합하여 성과지표 설정
세부 프로그램과의 관련성
  • 평가항목 A : 상호작용 중심 교수 학습
  • 평가항목 B : 학생 자발적 융합 활동
  • 평가항목 C : Open Source Education(모듈형 온라인 콘텐츠)
  • 평가항목 D : 핵심역량 기반 교양 교육
산출식
  • A*0.35 + B*0.35 + C*0.15 + D*0.15
세부산출내용
  • 기준값 = 84.6*0.35 + 90.9*0.35 + 0*0.15 + 0*0.15 = 61.4
  • 측정방법
    • A : 학생 참여형 교과목(토론, 발표 중심의 교양/전공 과목) 수강생 쌍방향 상호작용 교육 효과(100점 만점)
    • B : 파란학기 참여 학생 쌍방향 상호작용 교육 효과(100점 만점)
    • C : 모듈형 온라인 콘텐츠 활용도(백분율), 개발된 모듈형 온라인 콘텐츠들 중에서 50명 이상 활용한 콘텐츠의 비율(아주Bb에서 제공하는 통계 기능 활용)
    • D : 핵심 역량 기반 강의계획서 참여 교양 교과목 비율(백분율), 본교 인재상의 핵심역량 하위 요소들의 학습성과를 반영한 강의계획서를 운영하는 교양 교과목의 비율
기준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
  • A : 2018년 2학기 강의평가 평균값인 84.6점을 기준점으로 설정
  • B : 2018년 2학기 파란학기 아주도전 교과목의 강의평가 평균점수인 90.9점을 기준점으로 잠정 설정
  • C : 모듈형 온라인 콘텐츠는 소프트웨어학과에서 시범 시행 중이나 이용 현황 분석 자료가 없고, 전 학과 대상 자율실시는 2019학년도가 처음이므로 기준값을 0으로 설정
  • D : 표준 강의계획서의 적용은 2020년 1학기부터 시행 예정으로, 1차년도에는 0으로 시작해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설정
  • 최근 3년간 전체 강의평가는 2.2% 상승, 아주도전 강의평가는 정체
  • 매년 A항목 2.5%, B항목 1.0% 상승, C, D 항목은 시행 첫 해 값은 33.3%이며, 이후 40% 상승을 목표로 설정
table scroll image

table scroll image
자율지표명: 연구성과 활동 지수
자율지표 정의서
대학혁신지원사업 1주기 자율성과지표 적절성 및 달성도 - 연구성과 활동 지수 정의서
지표명 기준값 연차별 달성 목표
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
연구성과 활동 지수 92.6 94.5 96.4 98.3
지표설정 내용 지표설정 근거 지표선정이유
  • 연구성과 질적활동 지표인 Citation 및 Top Journal, 연구인프라 지원 확장성에 기반한 연구비 수주액을 지표로 설정하고, 이에 대한 기준을 마련함
세부 프로그램과의 관련성
  • 평가항목 A, B : 질적평가 기반연구지원시스템 혁신
  • 평가항목 C : 우수 연구인력 확보 지원 및 공동연구 활성화
산출식
  • A*0.3 + B*0.3 + C*0.4
세부산출내용
  • 기준값 = 101.6*0.3 + 105.4*0.3 + 76.3*0.4 = 92.6
  • 측정방법
    • A : Top Citation Percentile 10%(상위 10% 피인용 논문 비율) 지표
    • B : Top Journal Percentile 10%(상위 10% 저널 게재 논문 비율) 지표
    • C : 외부연구비 수주액
기준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
  • 시작점으로 해당 지표 요소들의 값을 2018년도 통계값으로 설정
    • 상위 10% 피인용 논문비율지표 = 13.1(2017년 지표)/12.9 (2015~2017년 평균)*100 = 101.6
    • 상위 10% 저널 게재 논문비율지표 = 31.4(2017년 지표)/29.8 (2015~2017년 평균)*100 = 105.4
    • 목표대비 외부연구비 수주액 = 76,340백만원 (2018 대학정보공시자료)/100,000백만원(목표치)*100 = 76.3
    • 2015~2017년 게재논문 평균 기준 대비 2017년 게재논문 비율
    • 2018년(2018.1~12) 본교 외부연구비 수주액(자체목표대비) : 76,340백만원
  • 결과값이 매년 2% 상승하는 것을 목표로 함
    • 상위 10% 피인용 논문비율과 상위 10% 저널 게재 논문비율 지표는 연구성과 분석 솔루션인‘SciVal’을 통해 산출
    • 기준값으로 설정한 연도는 값의 신뢰도를 위해 2017년으로 설정하였음(2018년 값은 현재기준으로는 표본이 적고, 일부 논문에 의해 값이 좌우되는 변동성이 있음 – 논문게재 후‘SciVal’데이터로 축적되는 시차 발생)
    • 연구전략 분야 자율지표는 매년 2% 상승률을 목표로 제안하며, 이는 논문의 질적 요소를 적극 반영하는 지표임을 고려할 때 도전적인 목표임
table scroll image
table scroll image




자율지표명: 산학협력 사회공헌 지수
자율지표 정의서

대학혁신지원사업 1주기 자율성과지표 적절성 및 달성도 - 산학협력 사회공헌 지수 정의서
지표명 기준값 연차별 달성 목표
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
산학협력 사회공헌 지수 63.8 75.1 87.7 108.2
지표설정 내용 지표설정 근거 지표선정이유
  • 수요자 중심 기술기반 산학협력 프로그램 별로 학생창업, 기술이전 및 지역사회 혁신지원 영역의 실질 활동 지표를 설정하고, 확장성 기반의 기준 마련
세부 프로그램과의 관련성
  • 평가항목 A, B : 기술 기반 창업지원(Ajou IE-Corps)
  • 평가항목 C : 기술사업화 발굴(Ajou Gap-Fund)
  • 평가항목 D : 지역사회 혁신지원(RCC 기반 SOS 지원)
산출식
  • A*0.10 + B*0.20 + C*0.35 + D*0.35
세부산출내용
  • 기준값 = 63.7*0.1 + 65*0.2 + 60.4*0.35 + 66.6*0.35 = 63.8
  • 측정방법
    • A : 창업교과목 이수학생 만족도(강의평가 외 별도 설문조사)
    • B : 학생창업 마일리지 지수(창업학생 수 + 창업지원사업 선정학생수 + 지식재산권 확보학생 수, 창업장학제도 운영 자체수집 통계 활용)
    • C : 기술이전 건당 수입료(2018대학정보공시자료)
    • D : 지역사회 연계 공동 프로젝트 건수(산학협력사업 수행 통계 활용)
기준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
  • 시작점으로 해당 지표 요소들의 값을 2018년도 통계값으로 설정
    • 2018년 창업교과목 이수학생 만족도지수 : 63.7점(100점 만점)
    • 목표대비 2018년 학생창업 마일리지 지수(창업학생 수+창업지원사업 선정학생 수+지식재산권 확보학생 수) : 13명(4명+7명+2명)(연 20명 목표)
    • 목표 대비 2018 정보공시(2017.01~12) 기술이전건당 수입료 : 30.18백만원(건당 50백만원 목표)
    • 목표 대비 2018년(2018.01~12) 지역사회 연계 공동 프로젝트 건수 : 20건(연 30건 목표)
  • 목표값은 평가항목별 3년간 평균 대비 상승률을 근거로 도전적으로 설정
    • 창업교과목 이수 만족도지수 : 평균 60.7점 대비 매년 4.9% 상승 반영
    • 학생창업 마일리지 지수 : 평균(2년) 13명 대비 매년 20.0% 상승 반영
    • 기술이전건당 수입료 : 평균 31.41백만원 대비 매년 10.0% 상승 반영
    • 지역사회 공동 프로젝트 건수 : 평균(2년) 16.5건 대비 매년 25.0% 상승 반영
table scroll image
table scroll image
자율지표명: 대학생활 만족도 지수
자율지표 정의서
대학혁신지원사업 1주기 자율성과지표 적절성 및 달성도 - 대학생활 만족도 지수 정의서
지표명 기준값 연차별 달성 목표
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
대학생활 만족도 지수 64.5 66.8 69.1 71.4
지표설정 내용 지표설정 근거 지표선정이유
  • 캠퍼스 공간, 지역과의 연계 문화체험, 행정 지원, 글로벌 지원 등 영역별성과지표 기준 설정
세부 프로그램과의 관련성
  • 평가항목 A : 지역상생 캠퍼스 문화 환경 혁신
  • 평가항목 B : 행정시스템 개선
  • 평가항목 C : 대학의 국제화 체제 정비
산출식
  • A*0.3 + B*0.5 + C*0.2
세부산출내용
  • 기준값 = 64.2*0.3 + 55.8*0.5 + 86.8*0.2 = 64.5
  • 측정방법
    • A : 학생 교육 생활환경 및 문화 만족도(교육수요자만족도 조사 활용)
    • B : 행정서비스 만족도(교내 구성원 설문조사)
    • C : 글로벌 서비스 만족도(외국인 유학생 설문조사)
기준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
  • A : 2018년도 교육수요자만족도 조사 항목 중 교육환경과 문화행사 만족도조사 결과값(각각 65.3, 63.1)의 평균인 64.2를 현재값으로 설정
    • 교육수요자만족도 17년 대비 18년 상승폭이 2.3점인 점을 감안하여 목표값을 매년 2.5점씩 증가하는 것으로 설정함(16년은 미 실시)
      교육 수요자 만족도 내, A(교육환경/문화만족도)
      년도 2017 2018
      교육환경 63.3 65.3
      문화만족도 60.5 63.1
  • B : 2018년도 교육수요자만족도 조사 항목 중 행정서비스 만족도조사 결과값 55.8을 설정값으로 설정
    • 교육수요자만족도 17년 대비 18년 상승폭이 1.4점인 점을 감안하여 목표값을 매년 2.5점씩 증가하는 것으로 설정함
      교육 수요자 만족도 내, B(행정서비스) 만족도
      년도 2017 2018
      행정서비스 54.4 55.8
    • 2019년도부터 교수, 직원 대상으로 확대 시행 예정
    • 행정서비스는 교수/직원/학생 전체가 수혜를 입는 항목이므로, 가중치를 가장 높게(0.5) 산정함
  • C : 2018학년도 외국인 교환학생 대상 만족도조사(1~2학기 평균) 86.8점 기준
    • 종합 만족도 결과값이 존재하는 2017-2, 2018-1, 2018-2학기의 추이를 감안하여 매년 1.5점씩 증가하는 것으로 설정함
      외국인 교환학생 대상 만족도
      학기 2017-2 2018-1 2018-2
      만족도값
      (5점 만점)
      4.24 4.28 4.35
      100점 환산율 84.8 85.6 88.1
    • 2019년부터 외국인 유학생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 시행 예정
table scroll image
table scroll image